2025년 현재 다양한 계층을 위한 정부지원금 제도가 시행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정보가 흩어져 있어 본인에게 맞는 지원 제도를 찾기 어려운 경우가 많죠.
이 글에서는 특히 청년, 직장인, 경력단절여성, 저소득층을 위한
대표적인 6가지 정부지원금을 한눈에 정리해드립니다.
정부지원금 요약표
지원금 명 | 지원 대상 | 지원 금액 | 신청 경로 |
---|---|---|---|
청년 월세 지원 | 만 19~34세 청년 1인 가구 | 최대 20만원/월 (12개월) | 복지로, 지자체 |
긴급복지 생계지원 | 위기 상황에 처한 가구 | 가구원 수별 최대 6개월 지급 | 읍면동 주민센터 |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지원금 | 만 12세 이하 자녀 둔 직장인 | 최대 220만원/월 | 고용센터, 워크넷 |
내일배움카드 (직장인) | 고용보험 가입 재직자 | 최대 500만원 (5년간) | HRD-Net |
에너지바우처 | 기초수급ㆍ차상위 가구 | 최대 72,000원 (여름/겨울) | 복지로 또는 주민센터 |
경력단절 여성 재취업 장려금 | 6개월 이상 경력단절 여성 | 최대 300만원 (6개월간) | 고용센터, 워크넷 |
1. 청년 월세 지원
청년 1인 가구의 주거비 부담을 완화하기 위한 제도로, 월세 20만 원을 최대 12개월간 지원합니다.
부모와 주소지를 달리한 무주택 청년이 대상입니다. 복지로 또는 시·군·구청에서 신청 가능합니다.
2. 긴급복지 생계지원
갑작스러운 실직, 사고, 질병 등으로 생계 곤란을 겪는 가구에게 최대 6개월간 생계비를 지원합니다.
가구원 수에 따라 지원 금액이 다르며, 재산 및 소득 기준을 충족해야 합니다.
3.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지원금
만 12세 이하 자녀를 둔 근로자가 하루 2~5시간 근무시간을 줄이고,
줄인 시간에 해당하는 임금 일부를 정부가 보전합니다. 최대 월 220만 원까지 가능하며,
자녀 1명당 최대 1년간 사용 가능합니다.
4. 내일배움카드 (재직자)
재직 중인 근로자가 퇴근 후 학원 수강, 온라인 교육 등을 통해
직무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교육비를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5년간 최대 500만원까지 지원되며, 훈련과정 선택의 폭도 넓습니다.
5. 에너지바우처
저소득 가구의 여름철 냉방비, 겨울철 난방비를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전기, 도시가스, 연탄 등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계절별로 바우처 금액이 다르게 책정됩니다.
6. 경력단절 여성 재취업 장려금
출산, 육아 등으로 경력이 단절된 여성이 재취업에 성공하면
최대 6개월간 월 50만 원씩 지급하는 제도입니다.
고용보험 가입 여부, 사업장 근속 요건 등을 충족해야 하며, 고용센터를 통해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중 본인에게 해당하는 것이 있다면,
각각의 제도 별 상세 조건을 확인한 후 신청해보세요.
내부 링크로 연결된 각 항목별 포스팅을 참고하면 더 자세한 절차와 주의사항까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 본 포스팅은 2025년 4월 기준 최신 정보를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쑥나물무침 만드는 법 총정리 | 데치는 시간부터 양념까지 (1) | 2025.04.21 |
---|---|
밤마다 손발 저림? 말초신경질환 초기증상 체크리스트 (0) | 2025.04.15 |
2025년 육아기 부모 근로시간 단축 지원금 총정리 (2) | 2025.04.12 |
경력단절 여성 재취업 장려금 총정리 (1) | 2025.04.12 |
[2025 긴급복지 생계지원] 실직·질병 시 당일 최대 130만원 지원받는 방법 (2) | 2025.04.12 |